진학정보
다양한 학교와 학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계공학과
취업률
60% 이상
졸업 후 첫 직장 임금
월 254.8 만원
학과개요
사람을 대신하여 반복적이고 정교함이 필요한 일들을 기계가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기계공학과에서는 기계에 관한 지식과 실습을 통해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계와, 기계를 이용한 다양한 설비나 장치를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웁니다.
학과특성
최근에는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인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생산설비 개발과 자율주행 자동차와 선박 개발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계공학 기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계공학은 기계설계부터 제작, 재료에 대한 이해부터 열역학까지 기계공학의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기계 설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기계설계공학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흥미와 적성
평상시 기계장치, 자동차, 전기, 전자 등 기술 분야에 관심을 갖거나 흥미를 느끼는 경우에 유리합니다. 기계공학의 기본이 되는 수학과 물리학을 잘하며, 기계의 작동 원리에 대한 논리력, 도면을 입체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공간지각력과 이해력이 높으면 좋습니다.
관련학과 고교 교과목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전문교과Ⅰ
전문교과Ⅱ
진로선택과목
진로 탐색 활동
대학 주요 교과목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전문교과Ⅰ
전문교과Ⅱ
진로선택과목
관련 자격
건설기계기술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기계기술사
기계설계기사
농업기계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선박기계기술사
유체기계기술사
일반기계기사
관련 직업
졸업 후 진출 분야
기업 및 산업체
기계 분야 대기업 및 건설, 선박 및 해양 관련 회사
정부 및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등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기술직(기계직) 공무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등 공공기관
학계 및 연구기관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기계 관련 공공 및 민간 연구기관
세부관련학과
CAD/CAM전공,ICT로봇기계공학부,글로벌화학기계공학과,금형공학과,금형설계공학과,기계・금형공학부,기계・스마트・산업공학부,기계・신소재공학과,기계・조선・첨단재료자율전공학부,기계∙로봇공학부,기계ICT공학과,기계ICT융합공학부,기계IT융합공학과,기계IT융합시스템공학전공,기계ㆍ로봇공학과,기계ㆍ산업경영공학부 기계공학과,기계공학,기계공학과,기계공학부,기계공학부 기계공학전공,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기계공학부,기계공학부,기계공학전공,기계로봇모빌리티공학전공,기계산업경영공학부,기계소재공학과,기계소재융합공학부,기계소재융합시스템공학과,기계시스템공학과,기계시스템공학과,기계시스템공학부,기계시스템공학부,기계시스템공학부,기계시스템공학전공,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전공,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기계시스템전공,기계시스템학부,기계우주항공공학부,기계융복합공학과,기계융합공학과,기계융합공학과,기계융합시스템공학부,기계융합시스템공학부,기계의용ㆍ메카트로닉스ㆍ재료공학부,기계의용ㆍ메카트로닉스공학부,기계의용공학과,기계의용공학전공,기계자동차계열,기계자동차공학과,기계자동차공학부,기계자동차공학전공,기계자동차로봇공학부,기계자동차로봇부품공학부,기계자동차융합공학과,기계자동차학부 기계공학과,기계자동차항공공학부,기계전자공학부,기계전자전공,기계정보공학과,기계제어공학과,기계제조공학과,기계조선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기계조선융합공학과,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기계항공공학부,기계항공공학부,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나노전자기계공학과,나노전자기계공학전공,농업기계공학전공,드론기계학과,디지털융합금형공학과,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전공,방산기계공학전공,생산기계공학과,생산기술공학과,스마트기계공학과,스마트기계부품소재학과,스마트기계융합공학전공,스마트디자인공학부,스마트에너지기계공학과,스마트운송기계・신소재공학부,스마트자동화공학과,실습선,에너지기계공학전공,에너지기계설비전공,에너지수송시스템공학부,에너지융합공학과,융합공학부,융합기계공학과,융합기계공학부,융합기계공학전공,융합기계학과,융합기술학과,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정밀기계공학과,조선해양플랜트공학과,지능형기계공학전공,첨단기계전공